![]() |
이에따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비롯한 정치권의 선거제 개혁 논의와 협상이 탄력을 받게 될 지 주목된다.
이날 국회 회견장에 함께 나선 이들 야 3당 원내대표들은 "야 3당 선거법 개정안의 가장 중요한 틀은 온전한 형태의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관철하는 것"이라며 "국회는 각 정당이 득표한 정당지지율에 따라 구성돼야 한다. 10% 지지를 얻은 정당은 국회에서 10%의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3당 협상안에 따르면 국회의원 선거에서 A 정당이 10%의 정당득표율을 기록할 경우, 현행 의석수(300석)로는 10%에 해당하는 30석이 할당된다.
하지만 민주당은 전날 정당득표율과 의석수를 연동시키는 방식과 관련해 100% 연동제가 아닌 연동 수준을 낮춘 준연동제, 복합연동제, 보정연동제 중 하나를 선택하자며 ‘한국식 변종 연동형’을 제안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야 3당은 또한 의원정수와 관련, 정개특위 자문위원회가 권고한 360석을 존중하되 작년 12월 중순 여야 5당 원내대표가 합의한 내용에 따라 현행보다 30석 늘어난 330석을 기준으로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의원정수 확대에 부정적인 국민 여론을 감안해 "의원정수를 늘리더라도 국회의원 세비 등 국회 예산은 동결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앞서 여야 5당 원내대표도 지난해 12월 15일 의원정수와 관련해 '10% 이내 확대 여부 등을 포함해 검토한다'는 대목을 선거제 관련 합의문에 담은 바 있다.
그러나 개혁의 키를 쥔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모두 현 의원정수 300석 유지를 주장하고 있어 합의가 쉽지 않아 보인다.
야 3당은 지역구 의석수와 비례대표 의석수 비율은 기존 정개특위에서 공감대를 형성한 대로 2대 1 내지 3대 1의 범위에서 협의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야 3당은 비례대표 선출 범위의 경우 전국 단위로 할지, 권역별로 할지는 향후 협의 과정에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지역주의 극복을 이유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제안한 만큼 수용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야 3당은 이밖에 100%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전제로 지역구와 비례대표에 동시 등록할 수 있는 '석패율제 및 동시 등록제' 도입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석패율제는 지역구에서 높은 득표율로 낙선한 후보를 비례대표로 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민주당이 제시한 방안이다.
한편 야 3당 원내대표들은 "연동형 비례대표제 합의 정신에 따라 1월 말까지 선거법 개정은 반드시 합의 처리돼야 한다"며 민주당과 한국당 등 거대 양당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이들은 민주당이 '100% 연동형' 대신 연동 수준을 낮춘 3가지 방식의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제시한 데 대해 "그 어느 것도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정신을 온전히 담고 있지 못하다"며 "절반의 연동형, 위헌적 연동형, 사실상 병립형에 불과한 안"이라고 평가절하 했다.
이어 "오히려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어떻게 하면 피해갈 수 있을지 고민한 흔적이 묻어나는 방안으로 대단히 유감"이라며 "민주당은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회피할 게 아니라 온전히 관철하는 방향으로 당론을 다시 채택하라"고 촉구했다.
한국당에 대해서는 "여전히 당의 입장도 정하지 못하고 정개특위에서 다른 당 입장만 비판하는 등 무성의한 평론가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며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어떻게 하겠다는 내부 논의도 없이 그저 의원정수 확대는 안 된다는 말만 되뇌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한국당은 무책임한 태도에서 벗어나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입각한 선거법 당론을 확정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