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20일 “이번 개각은 최악보다 더 나쁘다”며 ‘경악할 수준의 인사’라고 지적했다.
황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 중진 연석회의에서 “청와대의 인사검증 7대 원칙도 대통령 공약에서 한참 후퇴한 것인데 그것마저도 안 지키고 장관 후보를 추천하려면 원칙과 기준을 왜 만들었느냐”면서 “청와대는 이미 다 체크했다고 하는데 심각한 문제를 체크하고도 통과시켰다면 중증의 도덕불감증에 걸린 것”이라고 직격했다.
실제 최정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는 국회에 낸 인사청문회 답변 자료에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gab) 투자는 시장 질서를 어지럽게 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지적하면서 “투기 억제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했지만 정작 본인은 경기도 분당 아파트 자택 외에도 부인 명의로 잠실 아파트 입주권을 3억 원에 산 뒤 7억 원에 전세를 주는 등 전형적인 갭 투자 의혹에 휩싸인 상태다.
현재 시세는 13억~15억 원 수준으로, 거주할 주택 외엔 사지 말라는 정책 기조와도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을 상대로 이어지는 영화계의 거센 반발도 심상치 않다.
공정한 영화 생태계를 위해 노력해왔다는 해명에도 불구하고 스크린 독과점 논란의 당사자인 CJ E&M의 사외이사를 지낸 이력이 발목을 잡고 있다.
실제 상영과 배급을 겸하는 CJ와 롯데, 메가박스는 전국 상영관의 92%, 좌석의 93%, 매출액의 97%를 장악하고 있다.
김병인 반독과점 영화인 대책위원회 공동대표는 “대기업에 의해서 불공정 거래와 행위가 이뤄지고 있는데 그것을 알고 막아야 하는 분이 CJ 사외이사였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반대했다.
야당 시절 날 선 비판으로 '저격수'로 불린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는 과거 발언들이 부메랑이 돼 이제는 자신의 씀씀이를 해명해야 할 처지가 됐다.
최근 5년 동안 박 후보자 부부의 합산 소득은 33억 원에 달하지만, 신고한 재산 증가액은 9억9000만 원에 불과해 23억 원이나 차이 난다. 박 후보자는 세금 납부 전 소득 계산으로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지만, 후보자들의 '내로남불' 논란은 청문회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여기에 용산 주상복합아파트를 사서 2년 만에 16억 원의 차익을 얻은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후보자, 천안함 폭침 부정 등 과거 발언에 발목을 잡힌 김연철 통일부 장관후보자 등이 도마 위에 오른 상태다.
이밖에도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논문 표절, 병역특혜, 자녀취업 비리 등도 쏟아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