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의 인력구조조정에 따른 노사간 대립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정장선 지식경제위원장이 대화를 통해 원만하게 마무리할 것을 촉구하며 중재에 나섰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민주당 정장선 위원장은 7일 기자간담회에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어떠한 경우라도 노사간 대화와 협상으로 구조조정을 마무리해야 한다”며 “공권력이 투입돼 물리적인 폭력이 발생하는 것은 노사간 불신은 물론 더 큰 사회적 불안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절대 자제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 위원장에 따르면 쌍용자동차는 노조의 옥쇄파업과 공장점거, 사측의 직장폐쇄에 이어 곧 공권력 투입이 예상되고 있으며 공권력 투입으로 노ㆍ사ㆍ정이 물리적인 충돌을 빚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
그러나 노조측은 그간 노동조합이 제시한 일자리나누기 등의 대안이 수용되지 않는 한 옥쇄파업을 지속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고 사측은 구조조정이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회생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노사간 입장 좁히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 위원장은 “이달곤 행안부 장관에게 ‘쌍용자동차에 대한 공권력 투입은 절대 자제해 달라’고 간곡히 요청했고 장관도 이에 대해 ‘현재로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기업회생을 위한 구조조정도 파업과 점거를 통한 투쟁도 궁국은 생업을 위한 몸부림에 다름 아니다”라며 “아무리 지난한 과정이 되더라도 노사간의 대화와 협상에 의해 구조조정을 원만하게 마무리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정 위원장은 “사측에 구조조정 대상 중 1000여명에 대한 정리해고만이 능사는 아니다”라며 노조측이 제시한 일자리나누기, 무급휴직 등의 대안에 대해 부분적인 수용이라도 진지하게 검토할 것을 사측에 요청했다.
또한 그는 노조측에도 유연한 입장으로 협상에 나서 당장 장기간 자동차 생산이 중단돼 경영상태가 돌이킬 수 없이 악화되는 것은 피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노사간 대화와 협상을 통해 구조조정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공권력 투입은 절대 자제해 줄 것”이라며 정부측에도 재차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민주당 정장선 위원장은 7일 기자간담회에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어떠한 경우라도 노사간 대화와 협상으로 구조조정을 마무리해야 한다”며 “공권력이 투입돼 물리적인 폭력이 발생하는 것은 노사간 불신은 물론 더 큰 사회적 불안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절대 자제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 위원장에 따르면 쌍용자동차는 노조의 옥쇄파업과 공장점거, 사측의 직장폐쇄에 이어 곧 공권력 투입이 예상되고 있으며 공권력 투입으로 노ㆍ사ㆍ정이 물리적인 충돌을 빚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
그러나 노조측은 그간 노동조합이 제시한 일자리나누기 등의 대안이 수용되지 않는 한 옥쇄파업을 지속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고 사측은 구조조정이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회생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노사간 입장 좁히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 위원장은 “이달곤 행안부 장관에게 ‘쌍용자동차에 대한 공권력 투입은 절대 자제해 달라’고 간곡히 요청했고 장관도 이에 대해 ‘현재로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기업회생을 위한 구조조정도 파업과 점거를 통한 투쟁도 궁국은 생업을 위한 몸부림에 다름 아니다”라며 “아무리 지난한 과정이 되더라도 노사간의 대화와 협상에 의해 구조조정을 원만하게 마무리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정 위원장은 “사측에 구조조정 대상 중 1000여명에 대한 정리해고만이 능사는 아니다”라며 노조측이 제시한 일자리나누기, 무급휴직 등의 대안에 대해 부분적인 수용이라도 진지하게 검토할 것을 사측에 요청했다.
또한 그는 노조측에도 유연한 입장으로 협상에 나서 당장 장기간 자동차 생산이 중단돼 경영상태가 돌이킬 수 없이 악화되는 것은 피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노사간 대화와 협상을 통해 구조조정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공권력 투입은 절대 자제해 줄 것”이라며 정부측에도 재차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