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당 관계자는 25일 “어제 열린 의총에서 나 원내대표의 협상안이 거부되면서 재협상이 불가피해졌다"며 "20여명 의원들이 ‘협상에서 얻은 게 대체 뭐냐' '재신임 여부를 물어야 한다'는 강경 기류 속에서 집중성토를 이어가기도 했다"고 전했다.
앞서 나 원내대표는 전날 더불어민주당 이인영·바른미래당 오신환 원내대표와 합의문에 서명까지 했지만 당내 설득에는 실패했다.
합의 직후 열린 의원총회에선 핵심 쟁점인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정국’ 후속 조치에 관한 합의조차 주요 비판 대상이 됐다.
합의문이 그간 여야 3당 원내대표들의 지속적인 논의 속에서 나온 내용임을 감안하면 나 원내대표가 당내 여론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등 사전정지 작업에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당내 일각에선 2014년 당시 새정치민주연합(민주당 전신) 박영선 원내대표가 세월호특별법 여야 협상 과정에서 당내 설득에 실패하며 ‘조기 사퇴’한 전례를 들며 나 원내대표의 퇴진요구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TK 지역의 한 3선 의원은 “광화문 집회 당시, 더운 날씨에도 우리가 수십 대씩 버스를 동원해 모인 수만 명 인파 앞에서 연설은 나 원내대표가 다 했다"며 “결국 국회의원들은 나 원내대표의 바지사장 노릇을 한 셈"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특히 패스트트랙 대치 국면에서 국회선진화법 위반 혐의로 고소 고발된 당 의원과 보좌진 거취에 대한 내용이 합의문에 반영되지 않은 점도 나 원내대표에 대한 재신임 주장이 나오는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런 가운데 이 같은 당내 불만이 패스트트랙 이후 ‘민생투쟁 대장정’ ‘희망·공감-국민 속으로’ 등 장외투쟁 시리즈에만 몰두하며 당을 강경 일변도로 끌고 간 황교안 대표를 향하게 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수도권 지역 한 중진 의원은 “결과적으로 합의가 휴지조각이 되면서 재협상이 진행되더라도 나 원내대표의 운신의 폭은 상당히 좁아 졌다”며 “황 대표 역시 투톱으로서 합의문 도출 및 추인 실패에 공동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편 당내 일각에서는 전날 의총에 대해 “장외투쟁을 선호하는 황교안 대표를 지지하는 영남권 중심의 ‘친황’강경파들이 나 원내대표를 견제했다'는 해석이 나오기도 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