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서울시 각 자치구별 새마을문고 주민이용률 조사결과, 16개 자치구의 주민 이용률이 2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 중 7개 자치구는 10%에도 못 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의회 남재경 의원(종로1/새누리당)은 3일 “최근 2011년 서울시 각 자치구별 새마을문고 이용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25개 자치구 중 절반이 넘는 16개 자치구의 새마을문고 평균 이용률이 20% 미만이었으며, 이 중 특히 성북구(3.5%), 동대문구(4.4%), 마포구(4.7%) 등 3개 구의 평균 이용률은 채 5%도 안 된다”고 밝혔다.
또 동작구(6.9%), 은평구 (7.8%), 종로구(7.9%) 강북구(9.9%) 등 4개 자치구의 이용률도 10%를 넘지 못했다. 평균 이용률이 50%를 넘는 곳은 중구(65.5%) 단 1곳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도서대출과 열람을 합친 이용률이기 때문에 실제 도서대출만을 통한 문고 이용률은 이보다 더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남 의원은 또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새마을문고는 총 380여 곳으로 자치구별 평균 15곳의 새마을문고를 보유하고 있다”며 “새마을문고가 가장 많은 곳은 송파구로 24곳이 있었으며, 중구와 용산구는 8곳으로 가장 적었다”고 밝혔다.
각 자치구별 새마을문고 도서보유량은 새마을문고 1곳당 평균 7,553권으로, 중구(13,013권), 서초구(11,514권), 노원구(10,612권), 도봉구(10,457권), 영등포구(10,386권), 성동구(10,379권) 등 소재 새마을 문고가 평균 1만 권을 넘게 보유하고 있었다.
반면 동작구(3,041권), 동대문구(3,438권), 은평구(3,466권), 종로구(3,774권), 강북구(4,355권) 등에 소재한 새마을문고 1곳당 도서보유량은 5,000권도 되지 않았다.
예산지원은 이용률과 상관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 의원은 “새마을문고에 대한 예산지원이 주민이용률과 무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실제 마포구의 경우 이용률이 4.7%(23위)에 불과함에도 예산지원액은 8,600만 원(10위)이었으며, 도봉구와 관악구도 이용률은 각각 15.6%와 14.6%로 평균 이하였으나, 예산지원액은 1억 7,600만 원(2위)과 1억 5,024만 원에 이르렀다. 반면 서대문구는 이용률은 41.4%(3위)로 매우 높았으나, 예산지원액은 3,100만원(21위)에 불과했다.
다만 예산지원액이 큰 자치구의 경우 도서보유량이 다른 자치구에 비해 많았다.
실제 연간 예산지원 규모가 큰 상위 5개 자치구인 노원구(약 2억 원), 도봉구(약 1억 7,600만 원), 중구(약 1억 6,100만 원), 관악구(약 1억 5,000만 원), 구로구(약 1억 2,200만 원)는 대부분 새마을문고 1곳당 도서 보유량이 1만 권을 상회했다. 반면 예산지원규모 하위 5개 자치구인 은평구(약 770만 원), 동대문구(약 2,130만 원), 종로구(약 2,650만 원), 강북구(약 2,790만 원), 중랑구(약 3천만 원)의 도서보유량은 대부분 5,000권 미만이었다.
이에 대해 남 의원은 “도서보유량이 많은 자치구에 예산지원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이른바 예산편중현상이 가중되고 있다”며, “새마을문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용률과 도서보유량을 고려해 새마을문고에 대한 지원액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금번 조사결과 각 자치구별 도서기부 현황 역시 큰 편차를 보였다.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동작구, 마포구, 중랑구, 광진구, 성동구, 종로구, 은평구 등 10개 구는 2011년 한 해 동안 각 2,000권 이상의 도서기부가 이루어졌던 것에 반해, 용산구, 강북구, 도봉구, 구로구 등은 단 한 권의 도서기부도 없었다.
이 밖에도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관악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등 8개 자치구를 제외한 17개 자치구의 새마을문고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 동안 도서교환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