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는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을 강제 출당 조치한 뒤 당내 친박 의원들에게 "당을 떠나라"라고 압박하다 갈등에 직면한 홍준표 전 대표와는 사뭇 다른 선택이어서 주목된다.
당 관계자는 21일 “어제 열린 의원 연찬회는 정기국회 대응 방향 논의를 위해 모인 자리였으나 결국 계파갈등과 인적청산 논쟁이 다시 부각됐다”며 “의원들 스스로 계파갈등을 비롯한 분열이 당의 위기를 가져왔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고 밝혔다.
실제 김 위원장은 전날 경기 과천 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열린 당 소속 국회의원 연찬회에서 "지난 한달 동안 비대위원장을 하면서 저를 괴롭혔던 가장 큰 문제는 인적청산(요구) 였다"며 "전부 인적청산을 안 하면 혁신이 없는 것, 비상대책위원회가 없는 것이라고 이야기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그런데 저는 생각이 다르다"면서 "급한 것은 자동차(한국당)가 고장이 난 것을 인식하고 고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자동차를 고치지 않고 새로운 기사를 영입한다고 그 차가 갈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이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여전히 우호적인 대구‧경북(TK) 지역 민심을 겨냥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따른다.
이런 가운데 전날 연찬회 공개 질의시간에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당에 잔류했던 이른 바 잔류파 의원들이 홍준표 전 대표를 비롯 복당파 지도부를 겨냥한 '책임론'을 제기하고 나서 눈길을 끌었다.
김진태 의원은 "운전수가 문제가 아니고 차가 고장 났다는 것에 저는 동의하기 어렵다"며 "차는 별로 고장난 게 없는데 운전수가 문제"라고 포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20대 총선 참패, 탄핵, 지방선거 대참패 사건마다 당을 이끌던 리더십이 굉장히 문제였다"며 20대 총선과 지방선거 참패를 이끌었던 당시 지도부에 대한 책임론을 제기했다.
박완수 의원도 "당 이념이나 가치 정립에 공감하지만 비대위가 많이 있었음에도 당 지도자가 바뀌니 아무 소용이 없었다"며 "당 지도자 한 마디가 수십만 당원을 부끄럽게 만들었다"고 홍준표 전 대표를 직격했다.
한편 연찬회 사전 설문조사에서 한국당 의원들은 민심 이반의 최대 요인으로 계파 갈등과 보수분열, 무책임, 리더십 부재, 막말 등을 꼽았다.
실제 비대위가 당 소속 국회의원(112명 가운데 95명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공개한 당 혁신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우리 당이 무엇을 잘못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계파 갈등과 보수분열이라고 답한 사람이 53명으로 가장 많았다.
당의 중심 가치로는 55명 의원들이 '시장 경제'를, 46명이 '합리적 보수'라고 응답했다.
당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에 대해선 '경제 활성화 및 규제 철폐'(44명), '중산층·서민·소상공인 중심 민생경제 정책'(34명), '사회적 약자 배려'(26명), '청년희망·일자리 창출'(18명) 순이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