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히 다음달 1일에 열리는 당정청 전원회의와 조만간 성사될 것으로 보이는 5당 대표 회동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고위 당정청 회의 정례화도 관심사다.
민주당 관계자는 28일 “총리까지 지낸 7선 의원 이해찬 대표의 지도부가 출범하면서 존재감이 미미하던 당에 무게감이 실리는 분위기”라며 “당장 내달 1일에 열리는 당정청 회의 규모부터 커졌다”고 밝혔다.
애초 당정청 회의는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진들 정도만 배석할 예정이었지만, 이 대표 지도부가 들어선 이후 전원회의로 규모가 커졌다는 것이다.
전원회의에는 민주당 의원 129명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12명, 국무위원 18명 전원이 참석한다.
강병원 원내대변인은 "1일 전원 협의회에선 청와대와 밥 먹는 수준이 아니라 당정청 전원이 모여서 여러 논의를 할 예정"이라면서 "각부 장관들과 상임위 간 소통을 늘리기 위해 홍영표 원내대표가 국무위원들이 최대한 참석하도록 주문해놨다"고 전했다.
이 대표가 당대표 후보 시절 공약으로 내걸었던 고위 당정청 회의 정례화의 성사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재정 대변인은 전날 "제4차 고위 당정청 회의가 30일 열린다"며 "민생법안 및 정기국회 대비 주요법안과 예산을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열리는 고위 당정청 회의에는 당에서 이 대표와 홍영표 원내대표, 김태년 정책위의장 등이, 정부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청와대에서는 임종석 비서실장, 장하성 정책실장 등이 자리할 것으로 전해졌다.
당 관계자는 “이대표는 '친노 좌장'으로 불리는 만큼 그의 메시지를 청와대도 무겁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며 “추미애 대표시절 ‘여당패싱’ 말까지 나왔던 당 비중이 이제는 많이 커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가 추진 중인 여야 5당 대표 회동도 관심사다.
5당 대표 회동은 바른미래당 전당 대회가 실시되는 9월 2일 이후 이뤄질 것이란 전망 속에서 이미 민주당과 야당 실무진 간 일정조율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그동안 국회에서의 협치는 주로 법안이나 예산 처리 등을 협상하는 원내대표의 몫으로 생각하는 측면이 강해 사실상 당 대표 간의 협치는 실종된 상태였다”며 “이 대표는 문재인 정부 입법과제 처리 등을 위해 당 대표 차원의 협치를 모색하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