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청문보고서, 야, 자진사퇴 압박하지만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8-09-20 11:11:58
    • 카카오톡 보내기
    정국주도권 부담 우려로 문 대통령 임명강행 전망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드러난 각종 의혹 등으로 야당 측 청문위원들의 사퇴압박에 직면했던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청문보고서 채택'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자유한국당 관계자는 20일 “어제(19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정치자금법 위반, 남편 재산 축소신고 등 각종 의혹이 제기됐다”며 “우리는 청문 보고서 채택에 아예 동의하지 않거나 '부적격' 채택을 주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전날 인사청문회에 나선 한국당 의원들은 유 후보자에 대해 ▲자녀 위장 전입 ▲남편 회사 사내 이사를 의원실 비서로 채용 ▲재산신고 축소 ▲경력 확대 ▲상습교통 위반 ▲피감기관 건물 입주 특혜 의혹 등 다양한 의혹을 제기하면서 사퇴를 촉구했다.

    특히 한국당은 전날 긴급 의원총회까지 열고 유 후보자 사퇴를 촉구하는 피케팅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홍문종 의원은 "교육부 장관은 백년대계의 중차대한 업무를 수행해야 할 자리인 만큼 1~2년 정도의 장관 임기로는 성과를 내기 어렵다"며 "교육부 수장 인선이 총선용 경력관리 용도로 전락해서는 안되는 이유"라고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유 후보자를 겨냥, "다음 총선에 출마할 계획이 있느냐"고 질문하면서 "1년 여 정도 임기를 생각한다면 차라리 이 직을 고사하는 게 옳은 처신"이라고 주문했다.

    홍 의원은 또한 여당 의원들을 겨냥, "유 후보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우려하면서 던진 야당 측 질문을 여당 의원들이 돌아가면서 이를 대변하고 있는데 부적절하다"고 지적하면서 "유 후보자 자신의 생각을 밝히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곽상도의원은 유 후보자가 사립대에서 2년간 전임강사와 조교수를 지낸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 한 학기 강의에 불가했다며 ‘경력관리’ 의혹을 제기했다.

    곽 의원은 "총선 홍보물을 보면 전임 강사를 했다고 붙어있다"며 "선거 대비 경력이 필요했던 것 아니냐"고 질타했다.

    전희경 의원도 "본인은 우석대에서 경제적 급여를 안 받았다고 하지만 경력은 2년간 유지됐다'면서 "경력이 부풀려진 뻥튀기 특혜는 부당한 이득"이라고 질책했다.

    전 의원은 또 유 후보의 위장전입 주소지가 성공회 사택이라는 점을 들어 "일반인은 엄두도 못낼 종교시설에 위장 전입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김한표 의원도 "위장전입 했던 부분은 많은 문제가 됐기 때문에 고사하는 게 자라나는 아이들을 위해 옳은 일"이라면서 "교육계와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위해 사의하는 게 옳다"고 거듭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김현아 의원은 "후보자가 남편 회사의 사내이사를 비서로 채용했다"며 "공무원법을 어긴 것을 어떻게 할 거냐"고 몰아세웠다.

    김 의원은 또 천연농장 연간 매출액이 매년 2000만원으로 신고된 점을 들어 "정상적인 회사가 어떻게 매년 같은 매출이 나올 수 있느냐"고 재산 축소 의혹을 제기했다.

    또 유 후보자의 남편인 장모 씨가 2015년 12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급여 480만원을 받고 일을 한 인쇄업체인 '프로아트'에 유 후보자가 20대 총선 공보물을 맡긴 의혹을 제기하면서 특히 유 후보자가 선거 인쇄비로 2533만원을 지급한 건 '일감 몰아주기'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청문 보고서 채택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 속에서 인사권을 가진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여권 모 인사는 "현역 의원이 낙마할 경우 여권에 타격이 크고 정국 주도권에도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며 "특히 청와대 민정수석과 비서실장에 돌아갈 타격을 생각하면 임명강행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