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 의원은 전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북핵 외교를 주제로 열린 ‘토론미래 대안찾기’토론회 기자들과 만나 “당 분열에 저는 큰 책임이 있기 때문에 책임을 통감하고 이미 불출마를 선언했고 당협위원장을 사퇴했다"면서 "그런 선상에 있는 분들이 자진해서 그런 길을 가는 것이 조직을 위해 좋은 일”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김의원은 전당대부 출마 여부에 대해서는 “다른 억측이 나오기 때문에 답변하지 않겠다”라며 즉답을 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근 '최병길 비대위원 등이 당 전면에 나서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는 기자들 질문에도 김 의원은 "그런 주장에 일일이 이래라 저래라 할 입장도 아니고, 그런 싸움에 휘말리고 싶지 않다"면서 일축, 사실상 전대출마 의지에 힘을 실은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특히 김 의원 최측근으로 분류됐던 김성태 원내대표가 최근 "(김무성 의원이)자기 정치 욕망을 위해서 조직이나 구성원을 힘들게 하는 사람이 절대 아니다"라며 “절대 출마하지 않을 것”이라고 결을 달리하는 주장을 펴는 모습도 이목을 끌고 있다.
김 의원 중심의 복당파가 김원내대표 세력과 양분되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실제 김 원내대표가 복당파 내부에 일찌감치 당대표 출마 의지를 밝혔지만 호응을 얻지 못했다는 관계자 전언이 나오면서 김 무성 의원을 중심으로 뭉쳐있던 복당파가 김 원내대표 추정세력과 양분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김 의원이 이날 언급한 ‘당 분열책임 있는 사람들’이라는 지적은 사실상 김성태 원내대표와 김용태 사무총장 등을 향한 일종의 경고성 발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