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원욱 민주당 제3정책조정위원장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한 ‘광주형 일자리 공모제 전환을 위한 긴급 좌담회’에서 “광주형 일자리가 (예산안 심사 법정 기한인) 닷새 안에 합의되지 않으면 공모제로 전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창원, 거제 등 광주형 일자리에 관심을 보이는 도시를 포함해 공모형으로 전환, 광주형 일자리를 더 성공시키고 사회적 대타협 구조로 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위원장은 “광주형 일자리는 기업과 노동자, 정부가 윈윈하는 자리를 만들자는 것이었는데 정작 투자해야 할 주체인 기업은 빠지고 광주시와 노조가 일방적으로 대화했다”며 “떡 줄 사람은 빼놓고 떡만 달라는 꼴이 됐다”고 기존의 협상방식 문제점을 지적했다.
윤후덕 의원도 “이번 주 안에 타결이 안되면 전국을 대상으로 한 공모형 예산을 만들 수 있다”며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중앙정부 예산은 모든 정당이 다 합의한 상태”라고 가세했다.
그러나 김태년 정책위 의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공모제 전환은 (이원욱 위원장) 개인의 아이디어"라며 이를 일축했다.
'광주형일자리 합의가 안 되면 다음 대책을 세워야 하지 않느냐'는 취재진 질문에도 "광주가 성공하고 나서 똑같은 모델은 아니어도 그런 효과를 낼 수 있는 사회통합형 일자리를 다른 도시에 추가로 또 할 수는 있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그런 부분은 검토할 수 있지만, 광주에서 지금 하려고 하는 것을 다른 지역에 하겠다는 건 전혀 정책위 차원에서 전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