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호중 민주당 사무총장은 전날 저녁 YTN 라디오 ‘이동형의 뉴스 정면승부’에 출연, “선거제도 개편에 대한 당론은 이미 오래전부터 있다"며 “권역별 정당 명부 비례대표제를 우리 당의 당론으로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것을 도입하는 이유는 비례성을 강화하고, 지역 편중 정치를 완화하기 위함”이라면서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하지 않고, 권역별 비례대표로 간다, 이렇게 보면 되느냐’는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윤 사무총장은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전혀 다른 영역의 개념”이라며 “권역별은, 전국 단위 비례대표 명부를 권역별로 나눠서 리스트를 제출하고, 권역의 투표 결과에 따라서 비례대표 의석을 나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금처럼 각 정당의 지역 편중 현상이 있는 때에 유효한 제도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연동형에 대해선 “지역구 의석이 정당 득표율에 미치지 못하면 그 정당 득표율만큼 의석비를 가질 수 있도록 비례대표를 우선 배정하는 제도”라며 “배분 방식을 어떻게 합리화할 것이냐의 부분은 이제 논의를 해야 할 부분”이라고 밝혔다.
'과거 민주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언급한) 중앙선관위 안에 대해 “가장 합리적”이라며 환영의사를 밝힌 것이 당론 아니냐"는 지적에 윤 사무총장은 “그것은 합리적인 제도로 충분히 우리 당에서 검토할만한 안이라는 것이지 당론화 절차를 거치지는 않았다”고 반박했다.
국회법사위원장을 지낸 같은 당 이상민 의원도 이날 YTN라디오 ‘김호성의 출발 새아침’에서 '기존에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주장하던 민주당이 슬그머니 발을 빼고 있다'는 지적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일축했다.
그는 “야당이 주장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매우 상충되는 것이고 또 대치되는 것으로 오해하기도 하는데, 사실은 이게 조합이다. 말하자면 비례대표를 어떻게 배정하느냐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야당에서 주장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즉 독일형 비례대표제와, 또 저희가 공약을 내걸었고 주장했던 권역별 비례대표는 부딪히는 것이 아니고 조합이 충분히 가능한 것”이라며 “정파 간에 지역구 의석 대폭 축소를 전제로 한 연동형 또는 권역별 비례대표는 검토해볼 만하고 또 협상해볼 만하다는 그런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야3당은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등 두 거대정당을 향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촉구하는 공동결의대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바른미래당의 손학규 대표와 김관영 원내대표, 평화당 정동영 대표와 장병완 원내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와 윤소하 원내대표 등 3당 지도부는 물론 소속 의원, 보좌진, 당직자 등이 함께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