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 대표와 이 대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등 선거제도 개혁이 확실해질 때까지 단식농성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여야 교섭단체 3당 원내대표는 선거제 개혁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공감하고 비례대표 의석 비율을 조정토록 한다'는 등의 구체적인 합의문 초안을 마련한 바 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과 손을 잡은 더불어민주당이 선거제 개혁에 대한 배려없이 예산안을 통과시키면서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과 대척점을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실제 그동안 민주당에 우호적이었던 평화당과 정의당은 선거법과 예산안 연계 처리가 무위로 끝나자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을 싸잡아 ‘더불어한국당’이라 맹비난하면서 그간의 정책연대에 등을 돌리는 모습이다.
특히'연동형을 포함해 폭넓게 논의하자'는 민주당 설득에도 야3당은 선거제 개혁을 논의하고 초안까지 마련했다가 뒤집은 전력을 지적하면서 '선거제 개혁을 피하려는 꼼수 아니냐'며 불신을 내비쳤다.
유의동 바미당 원내수석부대표는 "민주당과 한국당은 선거제 개혁에 대해 눈곱만큼의 생각도 없었지만, 국민적 요구가 있으니 그것을 어떻게든 피해 보려고 시간을 끈 것"이라고 비판했다.
장병완 평화당 원내대표는 "민주당과 한국당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두 대표의 단식이 계속돼 국민 관심이 커지면 특히 여당에 정치적인 타격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사표로 인해 상당한 이득을 보고 있는 거대양당으로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할 경우 손해를 볼 가능성이 큰 만큼 야 3당의 요구에 따르기가 쉽지 않을 거라는 지적이다.
민주당 윤호중 사무총장은 “완전 연동은 초과의석이 발생하기 때문에 국민을 설득하기 어려우니 다른 방식을 찾아보자는 것”이라며 “연동형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게 아닌데도 야 3당이 정략적인 논쟁을 하려 한다”고 밝혔다.
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받아들이기에는 중압감이 너무 크다"며 "민주당도 그렇고 우리도 그걸 수용하는 순간 당내 큰 반발에 부딪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