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재선 “조국 사태와 추-윤 갈등이 참패 원인…친문, 물러나야”
친문 “과반의석 갖고도 개혁 밀어붙이지 못한 탓…2선 후퇴 없어”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4·7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수습에 들어간 가운데 참패 원인 등을 진단하는 첫 단계부터 초·재선 의원들과 친문 의원들이 주도권 다툼으로 갈등의 골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13일 민주당 관계자는 "당내 초·재선 그룹이 검찰개혁 등에 대한 자성과 함께 당 전면에 나설 채비를 갖추면서, 쇄신 방향을 두고 이견을 빚고 있는 친문계와의 갈등이 예고되는 형국"이라고 진단했다.
앞서 전날 서울여의도에서 간담회를 갖고 재보궐 참패 원인 진단과 쇄신 방안 논의에 들어갔던 민주당 재선 의원 40여명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간 갈등에 자성의 목소리를 내며 당의 전면 쇄신을 요구한 초선의원들에게 공감을 표하며 힘을 실었다.
이들은 공동 입장문을 통해 "우리와 생각이 다른 목소리를 듣는 것에 부족했고, 정치개혁 과정 속에서 민생에 소홀했으며, 과오를 인정하는 것에 정정당당하지 못했다"며 "국민과의 공감이 부족했던 당의 모습에 깊은 반성과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초선 의원들도 같은 날 2차 모임을 열고 10여명의 간사단 구성 등 초선 모임 정례화를 위한 기초작업을 마쳤다.
민주당 전체 의석 174석의 75% 가량을 차지하는 초·재선 그룹이 세력화에 나서면서 친문계 중심이었던 당내 정치 지형 변화가 불가피해졌다는 관측이 나오지만 친문 그룹은 여전히 요지부동인 모습이어서 주목된다.
실제 친문 김경협 의원은 "국민 중에는 오히려 민주당이 그동안의 너무 협치와 상생에 매달리면서 일정 정도 개혁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거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초·재선 그룹이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태를 재보궐 패배 주요 요인으로 꼽은 데 대해서도 "총선 때 이미 평가받은 사안으로, 보궐 선거의 패인으로 분석하는 건 좀 무리가 있다"고 반박했다.
특히 원내대표 경선에 나선 윤호중 의원은 "지금까지 의원 활동을 하면서 계파보다는 당을 우선으로 생각했다"며 "문재인 대통령을 지키고 대통령 만들기에 일조했다는 부분엔 어떤 평가를 하시든지 부정할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당내 일각에서 일고 있는 친문계 불출마 주장을 일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