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윤석열, 잇단 구설수로 '주춤'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21-08-11 10:43:51
    • 카카오톡 보내기

    이낙연-최재형 ‘반사이익’ 호재 될까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내년 3월 대선을 앞두고 여야 후보군 가운데 양강 구도를 이루고 있는 이재명 경기지사와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잇단 구설수에 발목을 잡히면서 이들의 실책이 당내 경쟁 후보군인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최재형 전 감사원장의 반사이익이 될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1일 현재 여당 유력 주자인 이재명 지사는 ‘바지 쇼’, ‘백제 불가론’에 이은 '미 점령군', '영남역차별' 등의 실언이 반복되자, 이탈한 호남과 여성 지지층이 경쟁자인 이낙연 전 대표 쪽으로 옮겨가는 양상이라는 관측이다.


    실제 이 지사는 앞서 민주당 예비후보군 TV토론회에서 정세균 전 국무총리로부터 '김부선 스캔들' 관련 질문을 받고 "바지를 한번 더 내릴까요?"라고 받아쳤다가 여론의 역풍을 맞았다.


    뿐만 아니라 지난달 1일 경북 안동을 방문해서도 "과거 군사 독재정권이 지배 전략으로 영호남을 분할해 차별했을 때 상대적으로 영남이 혜택을 받았을진 모르겠지만 이제 세상과 정치구조가 바뀌었다"며 "오히려 영남지역이 역차별받는 상황이 됐다"고 주장했다가 '지역주의를 조장했다'는 비판에 직면했고, 같은 날 이육사문학관을 찾은 자리에서 "대한민국이 다른 나라 정부 수립단계와는 좀 달리 친일청산을 못하고 친일 세력들이 미 점령군과 합작했다"고 주장한 발언도 도마 위에 올랐다.


    특히 최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 지사가 '왜 스스로를 필승카드로 자처하냐'는 진행자 질문에 "한반도 5000년 역사에서 백제(호남) 이쪽이 주체가 돼서 한반도 전체를 통합한 때가 한 번도 없었다"고 밝힌 발언은 당내를 발칵 뒤집을 만큼 파동이 컸다. 경북안동 출신인 이 지사를 제외한 이낙연(전남 영광) 정세균(전북 안 ) 등 호남 출신 주자들이 해당 발언을 문제삼고 나서면서다.


    이 전 대표 측 배재정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지역주의 망령을 떨쳐내기 위해 고 김대중·노무현 대통령님이 피를 토하며 외치던 동서화합, 국민통합의 정신을 이재명 후보는 거들떠 보기라도 하는가”라고 몰아세웠다.


    배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균형발전을 내세우며 국민화합에 힘쓸 때 이재명 후보는 ‘이낙연 후보의 약점은 호남’, ‘호남 불가론’을 내세우는 것이냐"며 “그렇잖아도 이재명 후보 발 네거티브에 걱정이 많다"고 일침을 가했다.


    정세균 전 총리도 “백제라니, 지금이 삼국시대인가? 용납 못 할 민주당 역사상 최악의 발언”이라며 "가볍고 천박하며 부도덕하기까지 한 꼴보수 지역 이기주의 역사인식"이라고 이 지사를 맹폭했다.


    특히 “제주, 강원, 호남, 충청 출신은 통합의 주체도 국정의 주체도 못 된단 말이냐"며 “이토록 당을 욕보이고 어찌 민주당을 대표할 수 있나? 이 후보는 민주당 경선에서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고 압박했다.


    범야권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도 설화에 시달리는 사정은 마찬가지다.


    윤 전 총장은 최근 '120시간 노동, 대구 민란, 부정식품, 폐미가 저출생 유발, 집은 생필품' 등 일련의 실언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바 있다.


    실제 그는 지난달 19일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게임 하나 개발하려면 한 주에 52시간이 아니라 일주일에 120시간이라도 바짝 일하고 이후에 마음껏 쉴 수 있어야 한다"고 청년 스타트업 관계자의 주장을 인용했다가 ‘시대착오적’ 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뒤늦게 "120시간씩 일하라고 했다는 건 일고의 가치도 없는 왜곡"이라며 "근로조건에 대해 자기 결정권을 갖도록 해주는 것이 기업에만 좋은 게 아니라 근로자에게도 좋은 경우에 좀 넓게 예외를 둬야 하지 않겠냐는 (취지)"였다고 해명에 나섰지만 여진이 이어지는 형국이다.


    윤 전 총장은 지난달 20일 지난해 코로나19 집단 감염 당시 일선에서 수습에 힘썼던 대구동산병원 관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의료진들과 시민들의 노력을 지원해주기는 커녕 (중국) 우한처럼 대구를 봉쇄해야 한다는 미친 소리까지 나왔다"며 "초기 확산이 대구가 아니고 다른 지역이었다면 질서 있는 처치나 진료가 안 되고, 아마 민란부터 일어났을 것"이라고 말했다가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특히 지난달 6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나 "사실 과거에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크게 문제 삼지 않았다"며 "정치적 차원에서 볼 문제가 아니고 일본 정부나 각국 협의로 사람들이 의문을 품지 않도록 국제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힌 발언으로도 설화를 자초했고 최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병에 걸리고 죽는 게 아니라면 부정식품이라고 해도 싸게 먹을 수 있게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가 여야 대선 주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정치권 관계자는 "여야 경선 과정에서 잇단 구설수로 선두 주자들이 불안해지면 상대적으로 언어선택에 진중한 이낙연 전 대표와 최재형 전 감사원장에 대한 주목도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내년 대선의 주요 관전 포인트"라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