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경선버스’ 출발 앞두고 이준석 ‘월권’ 논란으로 시끌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21-08-11 12:19:40
    • 카카오톡 보내기

    이준석 “경준위 역할은 당헌당규 변경사안 이외 모든 사안 의결”
    김재원 “경준위 의결한 건 맞지만 경선규칙 사안은 최고위 권한”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8월말 경선 버스’ 출발을 앞두고 국민의힘에서는 이준석 대표의 ‘월권’ 논란으로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국민의힘 경선준비위원회의 월권 문제를 두고 이준석 대표와 김재원 최고위원 등이 갈등을 빚고 있다.


    이 대표는 11일 SNS를 통해 "경준위 역할에 대해 지난달 최고위원회의에서 당헌당규 변경 사안 이외의 모든 사안이라고 논의하고 의결했다"며 "아무 문제 없는 일들이 특정 후보들의 유불리에 대한 이전투구 속에 소비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준위가 이런 거 하면 안 된다는 분은 경준위가 경선기획 말고 뭐하는 조직이라고 생각해서 의결하셨느냐"며 '경준위가 월권을 한다'고 지적한 김 최고위원을 거듭 비난했다.


    그러자 김 최고위원도 SNS에 글을 올려 이 대표의 주장을 정면으로 하고 나섰다.


    김 최고위원은 "당초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준위 구성안을 의결한 건 맞지만, 경선 규칙에 관련된 사안은 경준위의 권한이 아니라 최고위의 권한임을 명확히 하고 의결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후 역선택 방지 문항을 넣는 문제만 최고위원회의에서 논의, 의결됐을 뿐 후보들의 봉사활동이나 합동 회의 등은 최고위에 보고된 적도 없고 논의한 적도 없다"고 일축했다.


    김 최고위원은 "대표실 직속으로 후보 검증단 설치 문제도 제가 공정성 시비를 이유로 선관위 산하에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해 현재 보류돼 있다"면서, "그 외 어떤 논의를 했다는 것인지, 경준위 활동에 관련해 어떤 보고를 했다는 건지 이해할 수 없다"고 이 대표의 주장을 반박했다.


    이어 "이 대표는 당장 다음 주로 예정된 경준위의 토론회 행사를 최고위원회의에 보고하고 논의해달라"며, "대선후보를 상대로 하는 행사는 후보들 각자의 입장을 들어보는 민주적 절차를 갖춰달라"고 이 대표를 압박했다.


    앞서 '경준위 월권' 문제로 이 대표와 또 다른 갈등을 빚었던 원희룡 제주지사도 SNS를 통해 "경선 관리에 있어 당 대표의 임무는 심판을 임명하는 일이고, 경선 흥행은 후보들에게 맡겨 놓으면 된다"며 김 최고위원의 주장을 거들고 나섰다.


    당내에선 경선 관리를 준비하기 위해 당 대표가 구성한 ‘경선준비위원회(경준위)’가 대선 주자들을 모아 각종 행사를 벌이는 것이 맞느냐는 반발이 나온다. 특히 오는 18일로 예정된 예비후보 토론회 참석을 두고 일부 캠프에서 ‘반대’ 의사를 나타내면서 공방은 계속될 조짐이다.


    대선주자인 원희룡 전 제주지사는 전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경선준비위원회는 당헌에 있는 조직이 아니다”라며 “경준위에서 컷오프, 뮤직비디오, 리얼리티 프로그램 등을 확정된 것처럼 말하는데 이는 월권”이라고 반발했다. 원 전 지사는 이어 “이 아이디어 상당 부분이 이 대표에게서 나오는 데 대해 심각한 문제가 있다. 당 대표는 더불어민주당 정권에 맞서 전체적인 투쟁을 지휘해야 한다. 경선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은 끊어야 한다”고 이 대표를 직격했다.


    김재원 최고위원도 같은 날 MBC 라디오에서 “최고위에서 경준위를 발족시킬 때 ‘경선룰은 경준위의 권한이 아니다’라고 합의했다”며 “지금은 경준위가 경선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고 아직 경선 후보 등록도 되지 않은 후보자들을 시켜서 이미 경선을 시키고 있는 모양”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토론회는 열번, 스무번도 계속해야 할 사안이고 그것은 선거관리위원회가 구성되고 후보자 등록을 해서 정식으로 겨룰 수 있는 상황이 되면 하는 것”이라며 “최고위에서 한 번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했다.


    그러자 휴가 중인 이 대표는 바로 반격에 나섰다.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경준위 역할에 대해서는 당헌·당규 변경이 필요한 사안 이외의 모든 사안을 제외한 나머지 경선 과정 일체라고 명시해 논의하고 의결해 발표했다”며 “최고위원이 최고위원회의에서 의결될 때 아무 말 없다가 갑자기 모르는 이야기인 것처럼 이야기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김 최고위원이 다시 페이스북을 통해 “합동토론회는 당헌·당규상 후보 등록 후 선관위가 일정을 공고하고 시행해야 한다”며 “경선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것이 경선준비위의 역할이지, 경선 선거운동을 관리하고 진행하는 것은 당헌·당규상 선관위의 역할이다. 경선기획에 합동토론회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재반박하며 공개 설전이 이어졌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