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코로나 전담병원 인력 충원을"··· 靑 인근서 농성

    노동 / 이대우 기자 / 2021-02-02 15:36:51
    • 카카오톡 보내기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가 2일 청와대 인근에서 코로나19 전담병원 확대와 인력 충원, 공공의료 강화 등을 요구하며 농성에 들어갔다.

    보건의료노조는 2일 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통해 전체 병상 중 10%도 되지 않는 공공병원이 90%의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고 있지만, 인력 충원이 되질 않아 노동자들의 이직·사직이 이어지고 있는 상태라며 인력 충원을 거듭 촉구했다.

    노조는 “정부는 전담병원 인력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대책 대신 민간 파견인력을 배치하는 임시방편만 되풀이했다”며 “파견인력 지원 후 '인력을 늘려줬으니 환자를 더 받으라'고 밀어붙였지만 대유행 때마다 중증도나 질환군에 따른 환자 분류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혼란이 커졌다”고 비판했다.

    또 비효율적인 비정규인력 투입에 대해서도 개선을 요구했다.

     

    이들은 한 달에 1270명가량의 파견인력을 운영하는 데 100억원 이상이 소요된다고 추산했다.

     

    비정규인력 투입은 인건비가 정규인력의 3배에 이르지만 숙련도가 낮아 정규인력 1명이 할 일을 3∼4명이 하는 등 정규인력 확충보다 비효율적이라고도 주장했다.

    노조는 “아직도 중증도·질환군별 코로나19 대응 인력 기준 가이드라인이 없다”며 “매뉴얼의 부재로 전담병원 노동자들은 인력 부족과 엄청난 업무량을 견뎌내며 힘들게 코로나19 병동을 유지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코로나19 전담병원인 공공병원 지원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들은 “전담병원으로 참여한 지방의료원 36곳에 3165억원이 손실보상 명목으로 지급됐으나 이는 매월 병원을 운영하는 최소한의 경비·인건비에도 못 미친다”면서 “경상비 지원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조는 감염병 사태로 공공의료의 중요성이 확인된 만큼 모든 지방의료원 병상을 300∼500개 규모로 확대하고 정규인력 정원을 늘리는 방안을 실행에 옮기라고 촉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