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미주 의원이 제33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자유발언하고 있다. (사진=구로구의회 제공) |
[시민일보 = 박소진 기자] 구로구가 양성평등의 가치를 기리기 위해 열릴 예정이었던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를 취소하면서, 여권통문(女權通文)의 정신을 잇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서울 구로구의회(의장 정대근) 김미주 의원은 11일 열린 제33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자유발언에서 “구로구가 여권통문을 가리는 법정 기념주간의 가치를 올곧게 구현하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여권통문은 1898년 선포된 여성 인권 선언으로 여성도 인간으로서 존엄한 권리를 가지며, 교육과 직업, 정치에 동등하게 참여해야 함을 천명한 역사적 선언이다.
김 의원은 “구로구가 400만원이 없다는 이유로 양성평등의 날 기념식을 취소하면서, 구로에서는 여권통문의 날과 그 의미를 새길 기회마저 사라졌다”며 양성평등 정책의 실종을 꼬집었다.
이어 “양성평등기금도 수년째 같은 형태로 지급되고 있다”며 “이자 수익만 가지고 유사한 형태의 사업 추진에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매해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하지만 도돌이표 같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구의 양성평등 정책 축소는 민선 8기 들어서 ‘여성정책과’가 ‘가족보육과’로 개편되면서 예견된 바 있다. 김 의원은 이에 대해 “성별 불평등과 격차가 여전한 현실에서 부서 명칭에서 여성이 제외된 것은 정책의 후퇴를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김 의원은 “다행히 구 집행부가 2026년 여성친화도시 지정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며 “여성친화도시 지정이 선언적 연구에 머무르지 말고, 여성 일자리 창출, 돌봄 공백 해소, 지역 안전망 구축 등 실제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정책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끝으로 “127년 전 여권통문을 발표한 여성들이 외친 것은 단지 여성만의 권리가 아니라 모든 인간이 성별에 따라 차별받지 않고 존엄과 가치를 인정받아야 한다는 선언이었다”며 “성평등의 가치를 구호가 아닌 실질 정책으로 구현해 구로구가 진정한 성평등 공동체로 나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